현재 위치 :뉴스
해양수산부, 해운사 이전협의회 구성해 자발적 부산이전 유도
출처:www.ksg.co.kr 편집 :编辑部 발표:2025/09/17 10:09:31
해양수산부는 16일 국무회의에서 향후 5년간 새 정부 해양수산 분야 중심축이 될 국정과제가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한 국정과제는 지난 8월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부에 제안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정책·재정여건과 실행 가능성을 종합 검토한 결과다.
123대 국정과제 중 해양수산 분야에선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 ▲어촌·연안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산·해양산업 혁 ▲흔들림 없는 해양주권, 안전하고 청정한 우리바다 등 3개 과제가 채택됐다.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국정과제 56)
이재명 정부는 다가오는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해 해양수도권을 완성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국가 해상수송력 확충과 글로벌 허브항만의 완성으로 수출입 물류를 든든히 뒷받침하고 글로벌 해양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올해 말까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마무리하고, 정부·지자체·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해운사 이전협의회를 출범해 HMM 등 국내 주요 선사의 부산 유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전협의회를 통해 업계·관계자 의견을 청취하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 해운업 성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선사의 자발적인 부산 이전을 유도하기로 했다.
또 국적선사에 쇄빙 성능 선박 신조 보조금 등을 지원해 북극항로의 상업 항로화를 추진하고, 2028년 열리는 제4차 UN 해양총회를 국내에 유치해 북극 협력 사업 발굴 등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컨테이너·LNG·원유 등 북극 화물별 거점항만을 개발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글로벌 물류허브로 육성하는 정책도 수립했다.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사회의 강화되는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응해 친환경 선박을 중심으로 국가수송력을 확충하고, LNG·원유 등 핵심에너지의 국적선사 이용률을 높여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뒷받침한다.
한국형 ‘완전’ 자율운항선박·쇄빙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조선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미국 선박·함정 유지·보수·운영(MRO) 등 신시장을 개척해 K-조선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123대 국정과제 중 해양수산 분야에선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 ▲어촌·연안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산·해양산업 혁 ▲흔들림 없는 해양주권, 안전하고 청정한 우리바다 등 3개 과제가 채택됐다.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국정과제 56)
이재명 정부는 다가오는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해 해양수도권을 완성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국가 해상수송력 확충과 글로벌 허브항만의 완성으로 수출입 물류를 든든히 뒷받침하고 글로벌 해양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올해 말까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마무리하고, 정부·지자체·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해운사 이전협의회를 출범해 HMM 등 국내 주요 선사의 부산 유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전협의회를 통해 업계·관계자 의견을 청취하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 해운업 성장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선사의 자발적인 부산 이전을 유도하기로 했다.
또 국적선사에 쇄빙 성능 선박 신조 보조금 등을 지원해 북극항로의 상업 항로화를 추진하고, 2028년 열리는 제4차 UN 해양총회를 국내에 유치해 북극 협력 사업 발굴 등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컨테이너·LNG·원유 등 북극 화물별 거점항만을 개발하고, 항만 배후부지를 글로벌 물류허브로 육성하는 정책도 수립했다.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사회의 강화되는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응해 친환경 선박을 중심으로 국가수송력을 확충하고, LNG·원유 등 핵심에너지의 국적선사 이용률을 높여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뒷받침한다.
한국형 ‘완전’ 자율운항선박·쇄빙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조선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미국 선박·함정 유지·보수·운영(MRO) 등 신시장을 개척해 K-조선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환경을 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