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인터뷰] 정형준 "1000조 규모 상호금융, 든든한 '국민금융' 되도록 모니터링"
출처:ebn.co.kr 편집 :编辑部 발표:2024/09/20 09:08:05
지난해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로 정부 전방위적 상호금융 감독 강화
정부, 상호금융-부동산PF 시장저축은행업-제 2금융권 전체 확전 우려
상호금융팀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유도·중장기 성장 계획 마련할 것"
지난해 7월 시장을 떠들 썩 하게했던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를 기억할 것이다. 뱅크런 기세가 누그러지는 가 싶더니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다시 7%대까지 상승했다. 대손충당금 적립과 부실채권 매각 등의 여파로 순손실은 1조2000억원을 넘었다. 지난해 뱅크런 당시 정부가 전방위로 진화에 나선 효과는 어느 정도 본 것 같지만 불씨가 완전히 꺼졌다고 안심하기엔 이르다.
EBN산업경제는 금융위원회 정형준 중소금융과 상호금융팀 사무관을 만나 새마을금고를 비롯한 상호금융업계를 어떻게 조망하고 있는지를 들어봤다.
상호금융이란 농·축·수협의 각 조합을 통해 제한된 형태의 예금과 대출을 취급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 기관은 각 조합원의 영세한 자금을 예탁받아 이를 조합원에게 융자함으로써 조합원 상호간의 원활한 자금 융통을 추구하는 호혜 금융의 일종이다.
단위조합을 통한 거래는 모두 상호금융으로 볼 수 있다. 일반은행과 거의 비슷한 업무를 하고 있지만 제 2금융권으로 분류 된다. 각 조합마다 조합원을 둔다는 점에서는 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와 성격이 비슷하지만, 신협과 새마을금고가 조합원만 거래할 수 있는 반면, 농·축·수협은 비 조합원의 거래도 받아들인다.
상호금융에 속하는 집단은 수산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산림조합, 우체국예금, 우리종합금융, 상호저축은행 등이다.
정 사무관은 이같은 상호금융의 총자산이 1000조원에 이르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고 단언했다. 특히 지난해 일부 지역 금고의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대출로 '뱅크런' 사태를 겪은 새마을금고가 올해 상반기에만 1조 2000억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해서다.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프로젝트(PF) 대출금을 제때 회수하지 못했고, 그 영향으로 부실채권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대손충당금을 대규모로 적립해야해서다. 감독 부처인 금융위와 행정안전부는 새마을금고 위기 관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기업대출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치솟는 등 자산건전성이 악화되고 있어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가 관리 부처이지만 금융산업적 성격이 짙다. 이 때문에 금융위 상호금융팀에서는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금융위원회 1명씩으로 이뤄진 상호금융팀이 올해 4월 꾸려졌다. 상호금융권에 속한 새마을금고와 농축협, 신협, 저축은행업에 대한 건전성와 향후 성장 플랜을 살펴보기 위한 역할자다.
언젠부턴가 제1금융권을 비롯해 제2금융권인 상호금융업도 과도한 수신 경쟁으로 열을 올렸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풍부하고 경쟁 우위에 있는 은행권과 달리 상호금융은 경쟁보다 조합원에 제때 융자를 해주는 게 본업의 취지다. 하지만 상호금융권도 은행만큼이나 예대마진 확대에 공을 들이며 개인 조합원보다 기업고객을 찾아나서며 영업에만 매달렸다. 이익 다각화에도 욕심을 내다보니 상호금융권은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에도 손을 뻗었다. 대표적인 곳이 새마을금고다.
새마을금고가 올해 상반기에만 1조2000억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사실 따지고 보면 본업(조합원 융자)보다 투잡(기업대출) 여파로 충당금을 쌓게 되어서다. 지난해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동산프로젝트(PF) 대출금을 제때 회수하지 못했고, 그 여파로 부실채권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대손충당금을 대규모로 쌓게 됐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뱅크런(단기간에 예금에 대한 대량의 인출요구) 사태를 겪으면서 새마을금고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1인당 5000만원의 예금자 보호 한도를 초과하는 예금도 사실상 전액 보장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적극 안내했다. 하지만 기업대출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치솟는 등 자산건전성 악화는 막을 수 없었다.
이같은 배경으로 금융위 상호금융팀이 꾸려져 감시 체제를 구성했다. 감독 부처와 새마을금고는 위기 관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특히 자산건전성은 6개월 만에 급격히 악화되면서 새마을금고는 행안부과 금융위의 공동 관리를 받고 있는 실정. 지난해 86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1조 201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22년에는 당기순이익이 1조 5573억 원이었다. 지난해 상반기 당기순손실과 비교하면 1년 만에 10배로 뛰어올랐다.
사업의 질도 예전만 못하다. 전체 연체율이 7.24%를 기록해 6개월 전(5.07%) 보다 크게 올랐다. 올해 3월 말(7.74%)보다는 소폭 떨어지기는 했지만 연체율이 여전히 7%를 훨씬 웃돌고 있다.
부동산PF 등 기업대출 연체는 처참하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1.15%로 지난해말(7.74%) 보다 3.41%포인트 급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이 같은 기간 1.52%에서 1.77%로 소폭 오른 것과 대조된다.
새마을금고가 그동안 기업대출에 집중해왔고 특히 PF 부실대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구조적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이 두 자리수로 치솟은 점도 큰 우려 요인이다. 정부 당국이 상호금융팀을 꾸려 새마을금고를 특별히 모니터링하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같은 기간 농협·신협·산림·수협 등 상호금융권 역시 실적이 악화되는 등 상시 관리감독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배경 속에서 금융위는 지난 5월 '상호금융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새마을금고를 비롯한 상호금융권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건전성 관리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상호금융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체다. 1차 회의를 시작으로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상호금융권의 건전성 제고 및 영업행위 규제 정비, 투명한 지배구조 등 상호금융업권이 보다 건전하게 발전하고 이를 통해 지역‧서민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지속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이는 부동산 PF의 연착륙을 위한 일환이기도 하다. 상호금융권의 부실채권 매각, 경공매 활성화 등 현재 추진 중인 상호금융업권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기관별 취진과제도 진행하고 있다.
이같은 상호금융업권 모니터링 실무자인 정형준 사무관은 "조합원 사이의 원활한 자금 융통을 목적으로 탄생한 상호금융기관이 설립 목적과 본연에 주어진 역할을 잘 소화하면서 1000조원 수준의 자산을 건전하게 운용, 성장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상호금융에 대한 정부 부처의 관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연체율 관리 강화 등으로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악화 등에 대비해 상호금융권이 건전성 등을 제고하고 중장기 성장 계획을 마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