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트럼프 피격·재집권 유력…혼돈의 美 기준금리 시계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7/16 09:05:52

    트럼프 집권시 기준금리 인하 지연 유력

    파월 의장은 9월 인하에 사실상 쐐기 발언

    인플레 재발 우려…정치적 판단 나오나

    [사진제공=연합뉴스]

    [사진제공=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 확률이 급등하면서 금리 인하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은 트럼프 피격과 대통령 급부상 소식에도 “물가가 2%에 도달하기 전 금리 인하를 시작할 수 있다”고 깜짝 발표했다.


    기준금리 키를 쥐고 있는 양대 인물이 다른 행보를 보이면서 미국은 금리 인하 시기를 두고 다시 혼란에 빠졌다.


    현지시각으로 15일 파월 의장은 평소보다 강한 목소리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예고했다.


    이날 워싱턴DC 경제클럽 연설에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연준 목표치인 2%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 인하를 머뭇거리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물가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마냥 기다릴 수 없다고도 언급했다.


    금융 정책이 시간차를 두고 경제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감안, 2% 인플레이션 목표 도달 전에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비둘기파적 발언을 연이어 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면서 미국은 사실상 9월과 12월 두 차례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왔다.


    반면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지면서 금리 인하 지연론에 급격히 힘이 실리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가 집권하면 재정지출을 늘리고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한 감세 정책을 확대해 재정적자가 커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미 강력한 감세는 트럼프의 대표적 공약이다.


    여기에 트럼프 공약 상당수가 미국 인플레이션과 직결된다.


    감세 정책은 물론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 정책은 가격 인상의 형태로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면서 결국 미국 내 물가를 끌어올린다.


    이민 정책 역시 노동시장에 부담을 줘 인건비 상승이 우려된다.


    특히 트럼프 피격으로 투자자들은 안전 자산을 추구 현상이 강해지면서 미국 국채 값이 상승하고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시장은 단기적으로 큰 변동성에도 대비하고 있다.


    결국 전문가들도 오는 11월 미국 대선까지는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준금리 역시 방향성을 쉽게 잡지 못할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해 트럼프 눈치보기가 시작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금리 인하는 정치적 일정과는 관계없다는 입장이지만 실제 대다수 전문가들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의 독립성을 훼손시키려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는 과거에도 파월 의장을 해고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해왔다.


    트럼프 후보는 연준의 대선 전 금리 인하는 바이든의 재선을 돕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트럼프는 언론 인터뷰에서 “파월 의장은 정치적인 사람”이라고 공격하며 금리 인하는 대선 이후에 하라고 압박한 바 있다.


    선거를 앞두고 단행되는 금리 인하는 현재 미국 경제가 긍정적이라는 방증으로 트럼프에는 불리한 결정이다.


    선거 전 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인 9월, 대선 11월을 앞두고 연준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