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저축은행 1분기 1500억원대 순손실…연체율 8.8%

    출처:bada[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들이 올해 1분기 1500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회복이 더뎌 연체율은 8.8%까지 뛰었다. 2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154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527억원 손실)보다 손실 규모가 1016억원 확대됐지만, 직전 분기(4155억원 손실)보다는 줄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과 경기회복 둔화, 기준금리 인하 지연 등 거시경제 여건이 업계 경영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순손실 발생, 건전성 지표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의 1분기 이자이익은 총 1조408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1조3913억원 대비 175억원 증가했다. 이자이익이 늘어난 것은 이자수익과 이자비용 모두 감소한 가운데 이자비용이 더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1분기 이자수익은 2조4860억원으로, 여신 규모가 줄면서 전년 동기 대비 2336억원 감소했다. 이자비용은 수신금리 안정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1억원 줄어든 1조772억원을 기록했다. 저축은행들이 손실 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늘린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저축은행의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2292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966억원 대비 1326억원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를 보면 저축은행 1분기 연체율은 8.8%로 지난해 말 6.55% 대비 2.25%p 악화됐다. 연체율은 경기 침체로 인해 거래자의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지속해 나빠지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연체율 산정 시 모수가 되는 여신이 감소한 것도 연체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0%, 가계대출은 연체율은 5.25%로 지난해 말 대비 각각 3.52%p, 0.24%p 상승했다. 기업대출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새출발기금 협약에 따라 제삼자 매각이 제한된 개인사업자 대출 중심으로 연체율이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10.32%로, 지난해 말 7.73% 대비 2.59%p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전반적으로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으나 대손충당금 적립률과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 :编辑部    발표:2024/05/30 08:59:39

    [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들이 올해 1분기 1500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회복이 더뎌 연체율은 8.8%까지 뛰었다.


    2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손실은 154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527억원 손실)보다 손실 규모가 1016억원 확대됐지만, 직전 분기(4155억원 손실)보다는 줄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과 경기회복 둔화, 기준금리 인하 지연 등 거시경제 여건이 업계 경영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순손실 발생, 건전성 지표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의 1분기 이자이익은 총 1조408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1조3913억원 대비 175억원 증가했다. 이자이익이 늘어난 것은 이자수익과 이자비용 모두 감소한 가운데 이자비용이 더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1분기 이자수익은 2조4860억원으로, 여신 규모가 줄면서 전년 동기 대비 2336억원 감소했다.


    이자비용은 수신금리 안정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1억원 줄어든 1조772억원을 기록했다.


    저축은행들이 손실 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늘린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저축은행의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1조2292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966억원 대비 1326억원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를 보면 저축은행 1분기 연체율은 8.8%로 지난해 말 6.55% 대비 2.25%p 악화됐다. 연체율은 경기 침체로 인해 거래자의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지속해 나빠지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연체율 산정 시 모수가 되는 여신이 감소한 것도 연체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0%, 가계대출은 연체율은 5.25%로 지난해 말 대비 각각 3.52%p, 0.24%p 상승했다.


    기업대출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새출발기금 협약에 따라 제삼자 매각이 제한된 개인사업자 대출 중심으로 연체율이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10.32%로, 지난해 말 7.73% 대비 2.59%p 상승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전반적으로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으나 대손충당금 적립률과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