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은행앱 지고 생활밀착형 ‘슈퍼앱’ 뜬다…플랫폼 개발 ‘풀악셀’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5/17 09:51:29

    은행 신용대출 80~90%, 모바일 이용 계약

    금융·비금융, 온라인 이용 비중 급증 대세국면

    업계, 은행·증권·카드 기능 집결 슈퍼앱 개발

    생활밀착형 서비스 강화로 인뱅과 초경쟁 시대

    [제공=각 사]

    [제공=각 사]

    시중은행들이 기존의 모바일뱅크 앱(은행앱) 서비스를 종료 또는 개편하고 새로운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비대면 업무 및 거래가 자리 잡는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가져와야 핀테크·인터넷은행과 경쟁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금융·비금융,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강화로 방향을 잡고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하나은행이 취급한 신용대출의 95.5%는 인터넷·모바일을 이용한 비대면 거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적금 가입자의 73.2%도 디지털을 이용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비대면 신용대출 비중이 각각 83%, 84%에 이른다. NH농협은행도 금융상품의 74%를 비대면으로 판매했다.


    이처럼 비대면 거래 비중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금융 환경은 금융사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각 금융사는 하나의 앱에 은행, 증권, 보험, 신탁 등 여러 서비스를 담고, 이종 산업을 접목하는 등 어플리케이션(앱) 기능 및 편의 강화에 나섰다.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가장 앞서 나가고 있는 곳은 KB금융그룹이다. 주력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KB스타뱅킹’의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는 1228만명으로 전 금융사 중 1위를 차지했다.


    금융사 앱 이용률 선두의 비결은 KB스타뱅킹 앱에 증권, 보험 등 주요 계열사 서비스를 탑재하고, 서비스 영역을 확장한 효과가 컸다. 이 외에도 ‘국민비서’ 설정을 통해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교통범칙금 납부, 해외직구 통관 안내, 주민등록 발급 통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KB국민은행은 자사 외 금융사와도 손잡았다. 삼성금융네트웍스(증권·보험·카드·자산운용) 등이 공동으로 개발중인 금융통합앱 ‘모니모’와 협업하기로 한 것이다. 삼성금융은 ‘은행 없는 슈퍼앱’ 단점을 보완하고, KB국민은행은 신규 고객을 확보할 기회를 잡았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12월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 ‘슈퍼쏠’ 서비스를 시작했다. 은행은 물론 카드, 증권, 생명보험, 저축은행 등 신한금융 전 계열사 금융앱을 결합한 통합 플랫폼이다.


    고객 유입 전략은 KB스타뱅킹과 다소 차이가 있다. 은행과 비금융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같지만 배달, 쇼핑 등 일상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파이낸스 생태계’ 조성을 염두에 두고 플랫폼을 구성하며 차별점을 뒀다.


    하나금융은 이미 지난 2020년부터 은행앱에 △카드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생명·손해보험 등 하나금융 계열사의 주요 서비스를 통합해 담았다.


    우리금융은 오는 11월을 목표로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 개발에 나서는 중이다. ‘뉴원(NEW ONE)’으로 명명한 앱에 은행, 카드, 캐피탈, 종금, 저축은행 서비스를 한 데 묶을 예정이다. 또한 부동산, 통신, 프로테크 등 생활 밀착형 업종들을 담아 고객을 유입한다는 구상이다.


    NH농협금융 역시 차세대 앱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 1월을 목표로 은행 앱(올원뱅크) 기능을 강화하고, 증권, 보험 등 타 계열사의 기능도 모두 담은 통합 앱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예적금은 물론 신용·담보대출도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비중이 늘면서 금융사들은 ‘금융 플랫폼 기업’이 되지 않으면 성장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모바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내부 회의나 대화에도 이에 대한 논의가 나오는 상황”이라며 “관리자, 책임자들의 경우 애써 인터넷은행 앱을 설치하고, 타사 앱들의 경쟁력을 체험하는 등 경쟁사 장단점을 파악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