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뉴욕증시, 美다우지수 장중 첫 40000선 돌파…3년 반만에 10000p↑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5/17 09:50:44
WSJ “2년전만 해도 불가능해 보였던 이정표…경기침체 통과, 증시 낙관”
“자본 형성과 혁신, 수익 성장, 경제 회복력 등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
미국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이하 다우지수)가 16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장중 사상 처음으로 40000선을 돌파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오전 11시께 40051.05를 고점으로 기록하며 장중 한 때 사상 처음으로 40000선을 뛰어넘었다.
지수는 오전 장중 40,000선 목전에서 등락하다가 오후 들어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하고 전장 대비 38.62포인트(-0.1%) 내린 39,869.38에 마무리했다.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1.05포인트(-0.21%) 내린 5,297.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4.07포인트(-0.26%) 떨어진 16,698.32에 각각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1993년 3월 처음으로 10,000선을 돌파했다. 이후 2017년 1월 20,000선을 처음 넘어섰다. 지수가 두 배로 되는 데 약 24년이 소요됐다는 얘기다.
그러나 20000선에서 그 두 배인 40000선에 올라서는 데는 7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30,000선에서 40,000선으로 뛰는 데는 3년 6개월만이 소요됐다.
이에 대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년여 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경제 과열을 식히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을 때만 해도 다우 40000선은 달성하기 어려워 보이는 이정표였다”라고 진단했다.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대형 기술주들이 급등세를 보인 것도 시장에 호재가 됐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WSJ에 따르면 다우지수가 30,000에서 40,000으로 오르는 동안 구성 종목 중 골드만삭스가 지수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이에 반해 3M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한 언론에서 존 린치 코메리카 웰스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번 성과는 자본 형성과 혁신, 수익 성장, 경제 회복력 등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최근 지수의 기술적 모멘텀과 기업수익, 금리 등 기초여건의 강점은 단기 시계에서 추가 상승을 이어갈 것을 시사한다”라고 평가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