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PF 대출 규모·연체율 소폭 증가…금감원 “감내할 수준”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3/22 09:54:10

    “과거 부동산 위기 시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

    “위기 시 정부 정책과 함께 한국은행 대출 라인도 조성

    ”PF 사업 골고루 분산돼 특정 달에 문제가 되지 않아“

    [제공=금융감독원]

    [제공=금융감독원]

    우리 경제 뇌관으로 우려되는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과 연체율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35조6000억원으로 같은 해 9월 말 대비 1조4000억원 증가했다. 업권 별로는 은행(46조1000억원)과 증권(7조8000억원)이 각각 1조8000억원, 1조5000억원 증가했고, 보험(42조원)이 1조3000억원, 상호금융(4조4000억원) 3000억원, 저축은행(9조6000억원)과 여신전문(25조8000억원)이 각각 2000억원씩 줄었다.


    PF 대출 연체율은 전 금융권에서 2.70%로 9월 말(2.42%) 대비 0.28%p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저축은행(6.94%)이 1.38%p, 은행(0.35%)이 0.35%p, 여전(4.65%) 등이 0.21%p 상승했고, 상호금융(3.12%)이 1.06%p, 증권(13.73%)이 0.11%p, 보험(1.02%)이 0.09%p 하락했다.


    금감원은 대출 규모와 연체율이 상승했으나 종합적으로 볼 때 금융권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보는 “연체율 상승 속도와 폭을 보면, 과거 위기 시 나타났던 단기간 내 급격한 상승과는 다르다”며 “연체율의 절대적 수준도 과거 부동산 위기였던 2012년 12월 말 13.6%를 넘어가던 시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21일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보가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EBN]

    21일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보가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EBN]

    이어 “PF 충당금 적립 강화, 고정 이하 PF 여신 대비 충당금 적립도 109% 수준이며, PF 연체율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큰 저축은행의 경우에도 충당금 적립률이 150%로 충당금 적립을 많이 해둔 상태”라며 “완만한 PF 연체율 상승을 금융시스템이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김 부원장보는 “정부 정책과 함께 한국은행 대출 라인도 조성됐다”며 “위기 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여력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지만 시장에서는 PF 대출 만기 집중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부원장보는 “통계적으로 보고를 받아 보니 다양한 PF 사업 특성상 연중 만기가 특정한 달에 쏠려있지 않았다”며 “골고루 분산돼 특정 월에 문제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제공=금융감독원]

    [제공=금융감독원]

    총선 이후 PF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치적인 일정으로 PF 대출 상황을 달리 취급하거나 PF 시장을 관리하고, 부실을 이연하는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저축은행은 PF 리스크 관리를 다른 업권 대비 타이트하게 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감독으로 인해) 연체율이 오르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복현 금감원장은 PF 관련 ‘4월 위기설’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 원장은 “오늘 열린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도 논의했지만 상반기 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유의미한 사업장, 건설사 등에 위기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고 당국이 자세히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향후 사업성이 현저히 악화한 PF 사업장은 감독 당국 차원에서 재구조화하고, 경·공매를 통해 부실 정리 여건을 조성한다. 부실 사업장의 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 기준, 대주단 협약 개편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PF 연체율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