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정부 규제로 호텔街 ‘무료 치약-비누’ 없앴지만…“반쪽짜리” 비판 쇄도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4/03 09:55:54
‘자원재활용법’ 실효성에 의문
편의점·자판기로는 구매 가능
“고객만 혜택 잃었다” 지적도
호텔 어메니티(편의용품)의 무상 제공이 금지되면서 업계 내 잡음이 새어나오고 있다. 칫솔, 치약, 비누 등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자는 취지로 시작된 환경 정책이지만 별도 시설을 통한 용품 구매가 가능해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호텔들은 어메니티 배급에 드는 부대 비용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반면 소비자들은 입장에선 이전과 동일한 숙박 값임에도 혜택만 줄어든 셈이 됐다.
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자원재활용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호텔 등 숙박업소는 앞으로 일회용품을 무상으로 제공할 수 없게 됐다.
규제 대상은 객실이 50개 이상인 숙박업소며 이는 자원재활용법 중에서도 제10조(일회용품의 사용 억제 등)에 의거한다. 규제 용품은 칫솔, 치약, 샴푸, 린스, 면도기 등 5종이다. 숙박업소가 이를 무료로 제공할 경우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에 신라호텔, 롯데호텔, 한화호텔앤리조트, 조선호텔앤리조트 등 국내 대형 호텔기업들은 일회용 어메니티를 대용량 다회용 용기(디스펜서)로 대체하고 나머지 용품들은 편의점·자판기 등 별도 시설을 통해 구매하도록 조치를 취한 상태다.
하지만 일부 업계와 소비자들 사이에선 이 환경 정책이 반쪽짜리라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관련 규제 시행에 따라 호텔들이 선제공하던 어메니티만 사라졌을 뿐 내부 시설을 통해 손쉽게 일회용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문제였다.
업계 관계자는 “숙박업소를 이용할 때 화장품과 별개로 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 부대 용품까지 자가에서 소분해오는 비율은 아직 높지 않다. 그만큼 호텔 내부에서 일회용 어메니티를 찾는 고객들이 많으며 업체 입장에선 별도 시설을 통해 관련 제품을 간접 제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객들의 불만은 더 많다. 호텔 입장에서는 기존 어메니티 제공 비용을 줄이고 별도 시설을 통해 수익을 재창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이용객들은 그간 당연시 여겨졌던 어메니티 이용 혜택을 잃어버리게 된 것이다. 자원재활용법 시행 이후 호텔 숙박비용이 인하된 것도 아니었다.
대용량 디스펜서에 대한 위생문제도 부수적으로 따라온다. 다회용기를 사용할 경우 리필 시 이물질이 투입될 수 있다는 우려를 안게 된다. 이는 결국 모든 호텔업체들이 재개봉이 불가능한 ‘논-리필러블 용기’를 사용해야만 해소될 수 있는 문제다.
한편 호텔들이 제공하던 어메니티들이 더 이상 무상 제공되지 않자, 이를 쟁여뒀던 고객들이 중고거래 시장에서 고가에 재판매하는 헤프닝도 벌어지고 있다. 유명 호텔들이 배급해온 어메니티 중에서는 소위 ‘명품’으로 불리는 고가 제품들도 많아 이를 방문 기념품으로 소장하거나 추후 재사용하기 위해 챙겨오던 소비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자원재활용법이 호텔의 일회용품 사용 규제를 제대로 막기 위해선 단순히 어메니티 제공을 막는 게 아니라 리사이클링 제품의 도입 비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현재 규제는 동일한 어메니티 사용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 모양새 밖에 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