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2월 기업 체감 경기 41개월래 최저…PF·내수 부진 여파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2/21 09:08:51

    전산업 BSI 지수 68…전달보다 1p↓

    2020년 9월 이후 최저 수준

    기업경기실사지수 추이 [제공=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 추이 [제공=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조사한 2월 기업 체감 경기가 3년 5개월래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업황 BSI는 68로 나타났다. 전월보다 1p 하락한 수치이며, 2020년 9월(64) 이후 3년 5개월 만에 최저치다.


    BSI는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기업가의 판단과 전망을 바탕으로 산출된 통계다. 지수 100이 기준이며,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돈다.


    전산업 업황 BSI는 지난해 10∼12월 70을 유지하다가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떨어졌다.


    2월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1p 내린 70을 기록했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해 8월 67까지 떨어진 이후 점차 오르다가 6개월 만에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가전제품·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전자부품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자·영상·통신장비(-7p) 업종의 체감 경기가 악화했다.


    의료·정밀기기(-13p)와 석유정제·코크스(-7p)의 BSI도 수익성 악화 영향으로 하락했다.


    제조업 업황 BSI를 기업 규모·형태별로 보면 대기업(-2p)과 중소기업(-1p), 내수기업(-3p)이 하락했고, 수출기업(+2p)은 올랐다.


    2월 비제조업 업황 BSI는 67로 전월과 같았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7p)이 부진했다. 부동산 PF 부실 사태로 인한 자금조달 금리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가 지속된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반면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5p)은 수요 증가로 체감 경기가 개선됐으며, 운수창고업(+2p)도 해운업 업황이 좋아지면서 BSI가 상승했다.


    3월 업황에 대한 전망 BSI는 전월보다 3p 상승한 72로 집계됐다. 제조업(75)에서 4p, 비제조업(70)에서 2p 올랐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2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1.8p 오른 93.3을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3.4로 전월에 비해 0.1p 상승했다.


    이달 조사는 지난 5∼14일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305개 기업(제조업 1815개·비제조업 1490개)이 설문에 답했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