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이복현 금감원장, 태영건설 자구책에 “견리망의(見利忘義) 떠올라”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1/05 09:00:17
부동산 호황기 1조원 넘는 이익 총수 일가 자금 증식에 기여
침체기로 손실 나자 대주주 아닌 ‘수분양자·채권자’가 떠안아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자구 계획에 대해 “견리망의(見利忘義)라는 사자성어가 떠올랐다”고 꼬집었다.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는다는 뜻이다.
이 원장은 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신년 인사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태영건설은 부동산 호황기에 시공·시행 등을 한 번에 맡으며 1조원이 넘는 이익을 얻었고 그중 상당 부분이 총수 일가의 자금 증식에 기여했다”며 “부동산 침체기로 손실이 나니 대주주가 아닌 협력업체, 수분양자, 채권자가 이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원장은 “태영건설은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언급했으나 채권단 입장에서는 남의 뼈를 깎는 노력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태영건설의 자구 계획이 아닌 오너 일가 자구 계획으로 의심될 수 있어 보인다”며 “이를 지켜보는 당국도 이러한 대주단의 입장을 일부 수궁하는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태영그룹과 대주주는 산업은행과의 워크아웃 관련 협의를 진행하며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 1549억원을 태영건설에 지원 △에코비트 매각 추진 및 매각대금 태영건설에 지원 △블루원 지분 담보 제공 및 매각 추진 △평택싸이로 지분 62.5% 담보 제공 등 네 가지 조건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태영그룹과 대주주는 당초 조건과는 달리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400억원만 태영건설에 지원, 블루원 지분 담보 및 매각을 통해 마련한 자금을 태영건설 대신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 채무 상환에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태영그룹의 자구계획안에 전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태영 측이 네 가지 약속 중 태영 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400억원만 태영건설에 지원해 채권단 신뢰를 상실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블루원 지분 담보 제공 및 매각 자금도 태영건설 워크아웃에 이용한다고 이해했는데, 말씀을 바꿔 블루원 지분을 티와이홀딩스 채무를 갚는 데 이용하겠다고 말하고 있다”며 자구책이 충분치 않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만기 연장이나 상환유예, 경우에 따라 신규 자금 투입 또는 출자 전환 등 상당한 재무적 고통을 분담해야 하는 채권단 입장에서 경영진의 충분한 자본 노력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우발채무가 2조5000억원에 달하는 상황이지만 오너 일가의 급한 채무 변제에 쓰고 남은 돈을 투입하겠다는 식의 자구 계획으로는 채권단의 공감을 끌어내기는 힘들다는 설명이다.
그는 “태영 측의 구체적인 자구노력이 충분한지 실현 가능한지는 계약서나 회계적 상황을 모두 살펴보지 않은 당국이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산업은행이 말한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4가지 자구안이나 그 자금을 오너 일가에 급한 쪽으로 소진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1차 채권자협의회가 오는 11일인데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다른 채권단들을 설득하려면 최소한 그 전에 산업은행이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협의가 되어야 할 것”이라며 “그런 일정을 고려하자면 이번 주말을 전후한 시점을 넘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점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다만 워크아웃 절차에 있어 당국은 최종적으로 답을 제시해 주는 역할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며 최종 워크아웃에 이르도록 노력하겠으나 여러 가능성에 대해서도 염두에 두고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기초법 상 워크아웃 절차는 채권자와 채무자 간 자율적 협약과 신뢰를 바탕으로 고통 및 손실 분담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며 “당국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지만 답을 제시해 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당국이 채권단에게 무리하게 워크아웃에 동의하라 말라 이야기할 수 없다”며 “당국은 중간에 마중물 역할을 하며 가급적 워크아웃에 이를 수 있게 도울 뿐 최종적 성사는 채권단과 채무자 간에 마무리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가 흔들릴 시 결국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태영 측 입장도 수긍이 가지만 채권단 입장에서는 사실상 오너 일가는 부담을 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라며 “이 부분에서 당국이 오해나 간극을 해결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면 직접 나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