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EU 디지털 여권정책, 국제무역 대응 서둘러야”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1/05 08:57:08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발간
한국무역협회는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논의 중인 ‘디지털 제품 여권(DPP, Digital Product Passport)’에 대한 우리 기업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했다.
5일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공개했다.
‘디지털 제품 여권’은 EU내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사용, 재활용 등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공유하는 제도다.
특히 디지털 제품 여권은 2022년 에코디자인 규제안(ESPR, Ecodesign for Sustainable Products Regulation)에 포함됐다. 에코 디자인 규제안은 올해 EU 이사회 및 의회의 최종 승인 이후 발효될 예정이며, 규제가 발효되면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배터리의 경우 이미 디지털 여권 제도 시행이 확정됐다. 오는 2027년 2월부터 EU에 유통되는 2kWh 이상의 전기차‧산업용 배터리에 대한 디지털 배터리 여권이 적용된다.
중국의 경우 업‧산업‧품목별 탄소 발자국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을 통해 디지털 여권 제도에 대한 대응을 확대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지난 2021년 AI 기반 탄소 배출 관리 클라우드 플랫폼 ‘에너지 엑스퍼트’를 출시했으며, 중국 자동차 탄소 디지털 기술센터 유한공사는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자동차 산업 공급망 탄소 발자국 데이터 공개 플랫폼을 개발했다.
남경복창(南京复創)사는 지난해 10월 배터리 여권 제작에 대한 무료 컨설팅, POC 검증 등 실제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기도 했다.
기계·전자기기 수출입상회와 방직 수출입상회는 탄소균형과학기술(碳衡科技)과 협력해 기계‧전자기기‧섬유 품목에 대한 공급망 단계별 탄소 발자국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EU DPP추진 동향 모니터링 △공급망 단계별 정보 축적 및 디지털 기술 도입 △탄소발자국 감축, 인권·노동 문제 해결 등 ESG 항목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는 △배터리 및 섬유 파일럿 DPP 제작 지원 △중소기업 DPP 대응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산업별 탄소 발자국 산정 및 감축을 위한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DPP 관련 국제 컨소시엄 참여 및 협력 방안 마련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디지털 제품 여권은 유럽이 추진 중인 지속 가능성, ESG 규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면서 “DPP 구현 기술 준비와 함께 탄소 발자국 등 DPP에 담길 내용을 우리 기업이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