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경영 쇄신’ KT 김영섭號 …‘외부 수혈’로 준법경영 강화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1/05 08:56:39
지난해 조직개편 기점으로 외부 인사 적극 영입
ICT 전문가 외 검찰 출신 인사도 주요 보직 배치
회사 안팎선 ‘정부 코드 맞추기 인사’ 시각도
김영섭 대표 취임 이후 경영 쇄신에 속도를 내고 있는 KT가 외부 인사 수혈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대규모 물갈이 인사를 단행한 만큼 임원 공백 메꾸기에 한창인 분위기다.
다만 AI(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ICT(정보통신기술) 전문가 외에도 검사 출신의 법조계 인사들을 대거 영입, 주요 보직에 배치하면서 회사 안팎으로 잡음이 흘러나오는 모양새다.
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11월 단행한 조직개편 이후 내부 세대교체와 외부 인사 수혈을 통한 경영 쇄신을 추진 중이다.
KT는 조직개편에서 경영전략 컨트롤타워 격인 그룹트랜스포메이션 부문을 해체하고 CSO(최고전략책임자), CFO(최고재무책임자), CHO(최고인사책임자) 등을 CEO(최고경영자) 직속으로 편제하는 동시에 상무보 이상 임원을 20% 감축하는 등 ‘변화와 혁신’에 초점을 맞췄다.
당시 김 대표는 “ICT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고객의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드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고객’, ‘역량’, ‘실질’, ‘화합’이라는 4가지 핵심가치를 체질화시켜 고객이 인정하는 좋은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목할 부분은 적극적인 외부 인사 영입이다. 우선 AI 등 핵심 기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한 ‘기술혁신부문’에는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등을 거친 오승필 부사장을, 기술혁신부문 산하 ICT 특화 조직인 ‘KT컨설팅그룹’에는 삼성SDS,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웹서비스 등을 거친 정우진 전무를 각각 신규 선임했다.
지난해 본격 상용화에 나선 초거대 AI ‘믿음’을 기반으로, AI 응용 기술과 서비스·플랫폼 개발을 수행하기 위해 신설한 ‘AI 테크랩’ 수장에는 윤경아 상무를 임명했다. 윤 상무는 SK텔레콤과 현대카드를 거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 전문가로 거론된다.
수년 간 이어진 사법 리스크로 진통을 겪은 만큼 이를 해소하고 준법경영을 강화하는 조치의 일환으로, 법조계 인사도 잇따라 영입 중이다.
구체적으로 법무실장에는 검사 출신 변호사(법무법인 대륙아주)인 이용복 부사장을 영입한 상태다. 이 부사장은 사법연수원 18기로 1992년부터 2008년까지 검사로 재직했다. 이후 변호사로 다양한 민·형사사건을 담당했다. KT에 따르면 이 부사장은 다양한 법적 이슈 조정·대응을 담당한다.
감사실장과 컴플라이언스추진실장에는 검사 출신인 추의정 전무와 허태원 상무를 각각 임명해 이목을 끌었다.
추 전무는 대구지검 김천지청 형사1부장을 지냈으며, 방송통신위원회 파견 검사로 근무한 바 있다. 지난해 퇴직 후 최근까지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로 활동했다.
허 상무는 수원지검, 부산지검,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 등에서 근무했다. 이후 김앤장, 법무법인 율정, 아인에서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넷마블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을 지냈다.
회사 안팎에선 검사 출신 인사들이 주요 보직에 대거 발탁된 것을 두고 엇갈린 평가가 나온다.
재계 한 관계자는 “대다수 기업이 법무 대응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검찰 출신을 포함한 법조계 인사를 적극 영입하고 있지만, KT의 경우 현재 정부, 검찰과의 관계가 우호적이지 못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외부 인사 영입에 ‘코드 맞추기’ 등 의도가 반영됐다는 해석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검찰은 KT의 일감 몰아주기 의혹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인 상태로, 지난해 8월에는 KT 본사를 비롯해 자회사 KT클라우드 등의 압수수색을 진행한 바 있다.
이같은 시각과 달리, KT 측은 준법경영 강화 등에 방점을 찍은 인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현 정부 출범 이전에도 법조계 인사 영입에 나선 점을 앞세워 일각에서 제기되는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실제로 KT는 2020년 서울북부지검찰청 검사장 출신인 안상돈 변호사를 법무실장으로 영입했으며, 같은 해 상설화한 준법경영 협의체 ‘컴플라이언스위원회’ 위원장에는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등을 거친 김희관 전 법무연수원장을 영입하기도 했다.
KT그룹 관계자는 “법조계 인사 영입은 준법경영과 법무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뤄진 것으로, ‘코드 인사’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며 “외부 전문가 영입을 통해 법무, 윤리 등 분야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한층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