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태영건설, 3일 ‘채권자설명회’ 연다…워크아웃 첫 시험대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1/03 09:05:30
금융채권자 대상으로 개최되는 설명회로 비공개 행사
태영건설 자구계획·경영상황·현안 금융채권단에 설명
추가자구책 제기 가능·채권단에 자구방안 설득시켜야
태영건설 워크아웃 개시에 실패하면 ‘부도→법정관리’
태영건설이 채권단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하는 등 산업은행 주도의 워크아웃 절차가 본격화되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3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서 400~600곳 금융채권자를 상대로 태영건설의 경영 실태와 자구안에 관해 설명하는 ‘채권자 설명회’를 연다.
이는 당초 11일 예정된 ‘채권자협의회’와 별도로 금융채권자 이해를 돕는 자율적인 설명회로 비공개 행사다.
‘채권자협의회’가 워크아웃을 신청한 기업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상 밟아야 하는 절차라면, ‘채권자 설명회’는 태영건설이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을 비롯한 금융채권자들에 알리는 자리다.
산은 관계자는 “채권자협의회’와 별도로 사안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개최되는 것”이라며 “자세한 내용은 확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의 향방의 관건은 태영건설이 제시한 자구 노력을 채권단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다. 이에 따라 ‘채권자 설명회’는 오는 11일 결정될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예측해볼 수 있는 시험대가 될 것으로 풀이된다.
3일 설명회에서는 추가 자구책이 공유될 것으로 관측된다. 태영그룹 지주회사인 TY홀딩스는 태영건설, 서울방송(SBS), 블루원, 에코비트 등을 주요 계열사로 두고 있다.
이미 매각하거나 담보로 설정한 계열사를 빼면 태영그룹이 현금화할 수 있는 주요 계열사는 SBS와 블루원 등이다. 시장에서는 태영 일가의 대규모 사재출연과 SBS 지분 매각 가능성을 두고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태영건설이 고강도의 자구 계획을 결정하더라도 수백개 채권 금융회사의 입장이 다른 만큼 워크아웃 개시를 넘어 약정 체결까지 긴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권의 태영건설 관련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는 4조50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되며 중도금대출을 포함한 태영건설의 대출보증 규모는 9조원대다. 산업은행은 이를 토대로 400여곳을 추려 1차 채권자협의회 소집통보를 보냈고, 이중 실제 채권이 있다고 신고한 결과를 기초로 공동관리 절차에 참여할 채권단이 꾸려진다.
11일 1차 회의에선 익스포저 규모를 기준으로, 채권단 75% 이상이 동의해야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절차가 개시된다. 향방은 태영건설이 제시한 자구 노력을 채권단이 어떻게 받아 들일지에 달려 있다.
그동안 태영건설은 1조원 이상의 자구책을 내놨다. 태영인더스트리를 매각한 자금(2400억원) 등으로 TY홀딩스로부터 4000억원을 차입했으며, 화력발전소 포천파워 지분 보통주 전량 매각(265억원), 한국투자증권과 조성한 2800억원 펀드, 주주들로부터 받은 3000억원 등의 계획을 내놨다. 지난달 29일에는자회사 태영인더스트리를 매각해 1000억원이 넘는 현금을 확보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태영건설이 파격적인 자구계획을 내놓고 워크아웃을 개시한다고 해도 실제 끝까지 이뤄져 채권단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면서 "신평사의 신용등급도 급락한 상황에서 9조원대 대출보증 규모를 해결하는 등 채권단과 협약에 가기까지는 쉽지 않은 과정"이라고 우려했다.
계획대로 11일 태영건설 워크아웃 절차가 개시되면 채권단은 최장 4개월의 실사를 통해 기업개선계획을 마련한다. 이 계획이 4월로 예정된 2차 채권자협의회에서 통과되면 워크아웃 약정 체결 이후 본격적인 기업 개선 작업이 가동된다.
반대로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개시에 실패하면 법정 관리로 가게 된다. 나이스신용정보에 따르면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는 모두 빚을 갚지 못하는 기업에 주어진 선택이지만 둘은 성격이 다르다. 워크아웃은 부도 전 채권단 중심의 기업재무구조 개선작업으로 회사 경영 의지에 따라 금융권 지원이 가능하다. 오롯이 채권단과의 협상으로 시장에서 이뤄지는 작업이다.
이와 달리 법정관리는 부도 후 정부가 회생 기회를 주는 것으로 법원이 관리감독한다. 금융권을 비롯한 모든 채권이 동결되며 금융권 지원이 불가하다. 통상 정부정책자금으로 해결하는 데 보통 산업은행이 출연해 해결하는 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