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재계, 새해 ‘쉼 없는 혁신’ 강조...“바람 없으면 노 저어라”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4/01/03 09:00:00
새해 경영 환경 악화 우려 한목소리…성장 동력 발굴 강조
최태원 SK 회장, 해현경장 자세 강조 “새로운 발상·시도” 주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그레이트 챌린저로 미래기회 선점”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갑진년(甲辰年) 새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한 메시지를 던졌다.
올해 경영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염두, 혁신을 엔진으로 삼아 복합위기를 정면돌파하겠다는 구상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SK, LG, 한화, GS, 효성 등 주요 대기업 총수들은 신년사를 통해 올해 위기 극복을 위해 혁신에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최태원 회장은 SK그룹 구성원들에게 신년 인사를 전하며 ‘해현경장(解弦更張)’의 자세를 주문했다. ‘해현경장’은 거문고 줄을 고쳐 맨다는 뜻으로, 옛 한(漢)나라 사상가 동중서가 무제에게 ‘변화와 개혁’을 강조하며 올린 건의문에서 유래한 말이다.
또 최 회장은 향후 SK그룹이 가진 장점을 결집하고 앞으로 나아갈 것을 주문했다. 그는 “SK그룹은 그린에너지, 인공지능(AI)·디지털, 바이오 등 인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영위하고 있다”며 “우리의 장점 및 역량을 결집하고 외부와 적극적으로 협력한다면 이해관계자들이 필요한 ‘토털 솔루션’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전일(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2024 경제계 신년 인사회’에선 위기를 혁신의 엔진으로 삼는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기도 했다.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보다 먼 미래를 바라보며 미래산업의 씨앗을 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치열한 경쟁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차별적 고객가치에 대한 몰입’을 주문했다.
구 회장은 “‘남들과 다르게’의 수준을 넘어, 새로운 생활 문화의 대명사가 되는 가치가 ‘차별적 고객가치’”라며 그 사례로 트롬 스타일러와 건조기, 전기차 배터리, 올레드 등을 꼽았다.
그는 이어 “미래의 고객들에게 전에 없던 새로운 생활 문화를 열어줄 수 있어야 한다”며 “이런 가치들이 만들어지고 쌓여갈 때 LG가 대체불가능한 ‘온리원(Only One)’의 차별적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글로벌 챔피언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차원이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스스로 혁신하는 그레이트 챌린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바람이 불지 않으면 노를 저어라’라는 말처럼 그룹의 미래를 이끌 신규사업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모두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더욱 깊이 몰입해 추진해야 한다”며 “사업의 디테일에서부터 차별성을 만들며 한 발 앞선 결과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허태수 GS그룹 회장은 경기 침체나 사업환경 악화를 방어적으로 대하기 보다, 미래 신사업 창출을 위한 기회로 활용하자고 전했다. 특히 사업화 단계에 접어든 산업바이오, 순환경제, 전기차(EV)충전 등의 신사업 영역은 ‘스케일업’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기대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신년사에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도전과 혁신을 화두로 삼고,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하는 한 해로 만들자”고 밝혔다.
박 회장은 고물가와 고금리, 미국-중국 패권 경쟁, 지정학적 위기 등 여파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힘써야 하는 시기인 것은 분명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더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것은 미래”라고 강조했다.
조현준 효성 회장도 “우리가 현실에 안주한다면 도태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며 “시장과 경쟁사들에 대해 철저히 공부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는 성공보다 실패를 통해 더 많이 성장하므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할 때, 비로소 진정한 성공을 맛볼 수 있다”며 “하기로 한 일은 어떻게든 해낸다는 강한 신념과 절박함으로 백 번, 천 번, 만 번 도전하는 효성인이 되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