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美-中 반도체 신경전 확산...“고래싸움에 K-반도체 반사이익?”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12/28 08:59:34
美 상무부 내년 1월 중국산 범용 반도체 사용 의존도 조사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결정 참고…中 반도체 영향력 견제
미국이 중국산 범용 반도체로 규제 확대 카드를 꺼낸 가운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업의 반사이익 기대감이 제기된다. 중국과의 기술 격차가 크지 않아, 낸드플레시 중심 재고 소진 가속화, 가격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28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최근 내년 1월 미국 자동차, 항공우주, 방산 등 100개 이상의 미국 기업들에 대한 중국산 범용(레거시·구형) 반도체 사용 의존도 조사에 착수한다.
상무부는 이번 조사 내용을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결정에도 참고할 계획이다. 미 방산기업들이 중국산 반도체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향후 미국 기업은 상무부의 중국 반도체 추가 조치 없이도 규제 불확실성을 우려, 중 반도체 조달 비중에 대한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 상무부가 중국 범용 반도체 추가 수출규제 현실화 시 향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범용 반도체 재고 소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미국에서 중국을 대체해 한국산 범용 반도체 조달 비중을 늘릴 것으로 예상돼서다.
이번 조사는 미국 내 중국 범용 반도체 관세 부과를 통해 덤핑, 침투를 막고 미 반도체 공급망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 조치라는 게 전자업계 시각이다. 중국 반도체 기업인 YMTC, CXMT, SMIC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미 백악관은 작년 6월 보고서를 통해 YMTC의 저가 공세로 미국 기업인 웨스턴디지털, 마이크론이 직접적 위협을 받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중국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을 토대로 중국 기업이 중저가 반도체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어서다.
업계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중국 현지에서 반도체 공장을 운영 중이지만, 수출 통제 예외 대상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미 정부 입장에서도 전 세계 반도체 수급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10월 미 정부가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규정에 근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별도 허가 절차나 기한 없이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반입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비슷한 조치를 취할 것이란 기대다.
올해 3분기 기준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과 SK하이닉스의 재고 자산은 약 50조원에 달한다. 3분기 삼성전자의 재고자산은 55조2560억원이다. 이중 반도체 부문의 재고자산은 33조7307억원으로 전체 재고자산의 61%다. SK하이닉스의 3분기 재고자산은 14조9478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