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내년 채권시장 전망은?…“중앙은행 금리 인하여부 중요”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11/29 09:00:43
금투협, 2024년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 포럼 개최
금융투자협회는 내년 채권 및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채권포럼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2024년 채권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임재균 KB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국채 발행 및 연방준비제도의 불확실성 해소로 금리가 반락했고, 기관투자자들의 자금 집행과 연초 효과 등을 감안하면 내년 초까지 금리가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올 해 상반기 사례에서 보듯이 추세적으로 금리가 하락하기 위해서는 중앙은행의 금리인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금리 인하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로 물가로 꼽으며 “물가 경로를 고려하면 연준과 한국은행은 내년 3분기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우리나라는 공공요금 등으로 물가 안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금리 인하 시점도 더 지연될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고 언급했다.
‘2024년 크레딧시장 전망과 투자전략’을 발표한 이화진 현대차증권 애널리스트는 “내년 크레딧 시장은 연초 기관투자자들의 자금 집행 수요와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스프레드 축소가 에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크레딧 스프레드는 짧은 연초 효과 이후 경기 둔화와 부동산 PF 리스크에 대한 신용 경계감으로 횡보세를 나타낸 후 하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선반영으로 완만한 축소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용등급과 관련해서는 경기 둔화와 기업실적 회복 지연, PF대출 부실화에 따른 충당금 부담과 수익성 저하, 조달금리 상승에 따른 한계기업 증가로 상·하향 배율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부동산 투자와 관련해 “고금리 지속으로 이자가 유예된 사업장의 비용 상승과 사업성 저하로 본PF 전환이 더 어려워질 수 있고, 미국 상업용부동산 및 해외대체투자 손실 등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크레딧 리스크는 금리인하 시점 지연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정책적 지원이 이어진다면 일부 비우량 기업에 국한될 것”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