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대기업직원 임원 달 확률 1% 미만…임원 최다 삼성전자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11/27 09:15:27

    기업 빌딩. 연합

    기업 빌딩. 연합

    100대 기업이 다니는 일반 직원이 임원 명함을 새길 확률은 0.8%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장사 매출액 100대 기업 직원이 임원으로 승진할 수 있는 확률은 0.83%로, 작년(0.82%)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직원 중 임원(등기임원 제외)이 차지하는 비중을 산술적으로 계산한 수치다.


    올해 반기보고서 기준 100대 기업 전체 직원 수는 작년 동기 대비 1.6% 늘어난 84만6824명으로 집계됐다. 미등기임원도 작년 6894명에서 올해 7069명으로 2.5% 늘어났다.


    산술적으로 전체 직원 중 임원 비중은 올해 119.8대 1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는 직원 120명 정도가 치열하게 경쟁해 1명 정도만 겨우 임원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뜻이다.


    임원 1명당 직원 수는 2011년 105.2명에서 2021년 131.7명까지 늘었다가 작년에는 120.9명으로 소폭 줄었다.


    현대코퍼레이션의 경우 임원 1명당 직원 수는 13.4명으로, 직원이 임원을 달 수 있는 산술적 확률은 100대 기업 중 가장 높은 7.5%였다.


    포스코홀딩스도 임원 1명당 직원 15.3명꼴(6.5%)로 파악됐다.


    반면 미등기임원 숫자가 10명 이상 되는 기업 중에서는 기업은행의 임원 승진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은행의 임원 1명당 직원은 916.1명으로, 일반 행원으로 입사해 임원까지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은 0.1% 수준인 셈이다.


    비상장사여서 이번 조사 대상에서 빠지긴 했지만 국민은행(임원 1명당 직원 453.8명)과 하나은행(496.5명), 신한은행(637.2명), 우리은행(805.3명) 등 대형 은행도 임원 반열에 오를 확률은 0.1~0.2%대에 불과하다.


    올해 100대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의 미등기임원 숫자가 1152명으로 가장 많았다. 여기에 사내이사 5명까지 합치면 삼성전자의 전체 임원(사외이사 제외)은 1157명이다.


    올해 삼성전자의 미등기임원 1명당 직원 숫자는 107.7명으로, 작년(107.0명)보다 소폭 늘었다. 임원 승진 확률은 0.93% 수준이다.


    업종별로 보면 증권업에 포함된 회사들은 올해 직원 37.7명당 1명꼴로 임원 자리에 올라서는 것으로 조사돼 다른 업종에 비해 비교적 임원이 될 기회가 컸다.


    무역(55.4명), 석유화학(70.3명), 보험(72.8명), 건설(88.5명), 금속철강(88.8명), 정보통신(99.0명) 업종도 임원 승진 경쟁률이 100대 1보다 낮았다.


    반면 유통 분야는 직원 259.7명당 1명 정도만 임원 명패를 다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업의 특성상 매장 직원이 다수를 차지하다 보니 일반 직원으로 입사해 임원까지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은 다른 업종에 비해 낮았다.


    항공해운(180.6명), 조선중공업(172.3명), 자동차(142.6명), 전기·전자(138.7명) 업종의 임원 승진 경쟁률은 100대 1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