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수출 기업 10%만 기후 변화 대응, 정책적 방안 시급”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10/25 09:15:08
무협, ‘수출 기업의 기후 변화 대응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발간
규모 작고 수출 경력 짧을수록 기후 변화 대응 비율 낮아
“금융 지원 및 기업 맞춤형 지원 정책 시급”
수출 기업의 적극적인 기후 변화 대응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5일 ‘수출 기업의 기후 변화 대응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탄소국경제도(CBAM) 및 ESG 공시 의무화 등 다양한 기후변화 정책이 추진되는 시점에서 기업 대응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됐으며, 수출 기업 408개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 기업 95.6%는 기후 위기 대응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85%는 기후 위기가 경영 활동 및 수출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다만 실제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기업은 10%에 불과했으며, 향후 대응 계획이 없다는 기업도 40.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 규모가 작고 수출 경력이 짧을수록 대응비율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기업들은 기후 변화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이유로 ‘자금 부족’을 꼽았다.
현재 기후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165개사) 중 절반 가량(46.1%, 중복 응답)은 새로운 환경 변화에 대응할 자금이 부족해 기후 변화 대응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감축 방법을 몰라서’(42.4%), ‘인력 부족’(37.6%), ‘대응할 필요성이 없어서’(23.0%) 순으로 집계됐다.
기후 변화에 대응 중이거나 대응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243개사)도 탄소 중립 목표 달성 과정에서 겪는 애로 사항으로 ‘공정 개선‧설비 도입 관련 비용 부담(65.4%, 중복 응답)’이 가장 크다고 답변해, 기업의 기후 변화 대응 여부와 관계없이 ‘비용’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출 기업들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 ‘설비 교체 등의 비용 지원’을 꼽았다. 응답 기업의 63.2%는 비용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변했으며,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설비 교체 지원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술개발 지원’(32.4%), ‘탄소 배출량 산정법 및 저감 방안에 대한 정보’(31.6%)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도 높았다.
장현숙 한국무역협회 팀장은 “기후 변화 대응에 있어 기업들의 가장 큰 부담은 비용으로 조사됐고, 현재 대응 중인 기업들의 조치도 에너지 효율 개선 등 단기 비용 절감에 치중하고 있는 만큼 기업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금융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 규모가 작고 수출 경력이 짧은 기업일수록 기후 변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어 기업 규모와 수출 경력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며 “기업이 기후 친화적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통해 신시장 선점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을 중장기적으로 지원하는 정책도 병행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