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韓 '철강·건설기계·에너지' 기대감 들썩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06/27 16:35:11
재건 사업 980조~1171조 규모 전망
"철강재, 29조~30조 필요…신규 수요 2~3% 창출"
건설기계 만드는 HD현대건설기계에 우크라 차관 방문
우크라, 원전 2기 신설 공식화…현대건설·두산에너빌 등 수혜
우크라이나가 전후 복구 비용이 최대 1400조원으로 추산되는 가운데 국내 철강·건설기계·에너지산업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재건 사업을 위해 필요한 산업군이기 때문이다.
지난 2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Ukraine Recovery Conference)에서 데니스 슈미할 우크라이나 총리는 재건 사업에 12개월간 60억달러(7조8000억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계은행이 추정한 재건 비용만 4000억달러(520조1600억원)가 넘는다. 한국무역협회는 재건 사업 규모를 980조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약 9000억달러(1171조7100억원)로 추산하고 있다.
이 회의에서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우크라이나 기업 협약'에 시가총액 총합 4조9000억달러(6340조6000억원)에 달하는 38개국, 400여개 기업이 가입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BT, 버진, 필립스, 현대엔지니어링 등이 포함돼 있다고 영국 정부는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29조~30조원에 달하는 철강재가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서진 도로·항만·교량 등을 새로 짓고 건물도 새로 올리려면 철강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한국 건설생산 투입구조 및 완성공사원가통계를 참고해 건설원단위로 계산하면 토목공사에서 재료비 비중은 15%, 건축에서는 26% 정도다. 건축 및 토목 재료비에서 금속제품의 비중은 50%다.
이유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까지 집계된 우크라이나 도로·교량 피해금액이 약 40조원이기 때문에 복구 시 3조원 정도의 철강재가 필요하고, 주택·건물의 경우 100조원의 피해를 봤기 때문에 복구 시 최소 26조원, 총 29조~30조원의 철강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재 열연강판 가격으로 따지면 3400만~3500만톤의 신규 수요가 더해지는것"이라며 "이는 전 세계 철강 수요의 2~3% 규모"라고 강조했다.
초토화된 국토를 재건하려면 수많은 잔해를 치워야 한다. 여기에는 굴착기(포크레인), 로더(굴삭된 파쇄물을 운반차에 싣는 데 사용하는 장비), 불도저 등 건설기계가 필요하다. 이에 이러한 건설기계를 생산하는 HD현대인프라코어, HD현대건설기계 등의 수혜가 전망된다.
HD현대건설기계는 벌써 우크라이나에 재건 사업 협력에 대한 뜻을 나눴다. 지난 13일 우크라이나 인프라부의 쉬쿠라코프 바실리 제1차관이 울산 캠퍼스를 방문한 자리에서 건설기계 공급사업 등 재건 사업 추진을 위해 우크라이나 인프라부와 긴밀한 협의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이다.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기업들은 또 있다. 앞서 현대건설은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과 함께 지난 4월 21일 우크라이나 에너지 인프라 재건을 목적으로 하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협력 계약을 맺었다. 우크라이라 정부가 신규 원전 2기 건설을 공식화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 관련 기업이 혜택을 볼 전망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유일의 원전 주기기 생산업체다. 미래 차세대 원전인 SMR의 주기기도 초도 물량 공급을 앞두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정부가 국토 재건에서 나아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수소·풍력 관련 기업들의 수혜도 예상된다. 로스티슬라프 슈르마 대통령실 차장은 지난달 방한해 "신규 원전 2기 설립과 수소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에너지 사업에서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국토 재건 사업이 초대형이니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도원빈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리스크 대비뿐만 아니라 기회요인을 포착하기 위한 적극적 노력도 중요하다"며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 규모가 7500억달러(975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종전 이후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