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머스크' 메탄올 추진 컨선 시대 연다…과제는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06/21 17:26:52

    이달 말 시운전 예정…세계 최초 메탄올 추진 컨선 상용화

    일반 메탄올 '탄소 0' 불가…그린 메탄올, 비싸고 얻기 어려워

    수소 등 탈탄소 연료 상용화 위해 기술개발·수급 해결해야

    한국조선해양, 글로벌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49.4% 휩쓸어




    현대미포조선이 지난 2021년 인도한 메탄올 추진 PC선ⓒHD한국조선해양현대미포조선이 지난 2021년 인도한 메탄올 추진 PC선ⓒHD한국조선해양


    '그린 메탄올' 컨테이너선 시대가 도래했다. 세계 2위 해운사 덴마크 머스크가 세계 최초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인도를 앞두고 있다. 이달 말 시운전에 들어가며 차세대 친환경 연료인 메탄올을 사용하는 선박 운항을 본격화한다. 그린 메탄올을 사용함에 따라 탄소중립에 성큼 다가갈 전망이다. 다만 메탄올의 수급, 탈탄소 수준 등은 전 세계 해운업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21일 조선·해운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은 머스크가 발주한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을 이달 내 인도할 예정이다. 머스크는 이달 말 이 선박을 시운전에 돌입한다. 첫 운항에서 그린 메탄올을 100% 사용할 방침이며 네덜란드 기업인 OCI 글로벌이 연료를 공급한다


    시운전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세계 최초로 메탄올로 운항하는 컨테이너 선박이 상용화되는 것이다. 특히 머스크가 쓸 그린 메탄올은 해양에 배출하면 물에 빠르게 녹아 생분해돼 해양 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대표적 탈탄소 연료로 꼽히고 있다.


    머스크는 HD한국조선해양에 발주한 총 19척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을 오는 2025년 하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받을 예정이다. 머스크 외에도 세계 3위 컨테이너선사인 프랑스 CMA CGM, 중국 코스코(COSCO), 한국 HMM이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 선박을 발주했다.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 선박 발주가 줄을 이으면서 국내 조선·해운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발주된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총 87척 가운데 43척(49.4%)을 HD한국조선해양이 수주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만 보더라도 지금까지 발주된 38척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중 24척(63.2%)을 수주했다.


    HMM도 전 세계에서 네 번째, 국내에서는 최초로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을 지난 2월 발주했다. 총 9척 중 7척은 현대삼호중공업, 2척은 HJ중공업에서 건조한다. 선박 금액은 총 1조4128억원이다. 이 선박들은 2025년부터 2026년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돼 남미와 인도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개념도ⓒ머스크사한국조선해양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개념도ⓒ머스크사


    메탄올은 기존 벙커C유 대비 황산화물 99%, 질소산화물 80%, 이산화탄소를 10%까지 낮출 수 있다. 대표적인 친환경 연료로 꼽히는 액화천연가스(LNG)보다 탄소 배출을 더 줄인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화석연료 기반의 일반 메탄올을 사용하면 탄소 감축 목표를 실현할 수 없다. 머스크가 이번에 선택한 그린 메탄올을 연료로 쓴다고 해도 여러 문제가 있다. 그린 메탄올은 아직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완벽한 '탈탄소' 연료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그린 메탄올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이나 그린수소 반응을 통해 얻어야 한다. 고비용 이외 생산량도 일정하지 않다. 수급 문제가 뒤따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머스크도 그린 메탄올 공급 및 금액에 대해 알려지지 않고 있다.


    업계에선 아직 탈탄소 선박의 대세를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보고 있다. 향후에도 차세대 친환경 선박 연료로 LNG, 메탄올, 암모니아, 수소 등에서 3가지 이상이 시장에서 사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선박용으로 사용되는 벙커C유와 달리 육상에서도 다수 사용돼 수급과 가격 문제가 장기 과제로 떠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선박 연료의 90% 이상이 벙커C유를 사용한다. 탈탄소 목표를 맞추기 위해 해운사들은 연료 사용뿐만 아니라 생산·운송·저장 등 전 과정에서 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