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지어야 하는데 둘로 나뉜 지역사회
출처:bada 편집 :编辑部 발표:2023/06/05 17:27:47
포항제철소 내 부지 부족해 바다 132만여㎡ 매립 추진
"해양환경·생태계 위협" vs "20조 투자사업, 환영할 일"
포스코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을 위해 바다를 매립해 포항제철소 부지를 넓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포항 지역사회는 의견이 찬반으로 나뉘어 대립하고 있다.
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을 추진하면서 포항제철소 내 부지 부족으로 바다 132만2300여㎡를 매립해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소는 환원제로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탄소 배출 없이 철을 만드는 미래 첨단 제철소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의 시험설비를 오는 2026년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2030년까지 하이렉스 상용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2050년까지 하이렉스 설비의 상용화를 마쳐 탄소중립을 실현할 방침이다.
포스코는 이 같은 로드맵 실현의 첫 발인 수소환원제철소 부지 확보를 위한 바다 매립을 위해 포항시 웹사이트 등에서 공람 절차를 밟고 주민 대상 설명회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의견은 갈리고 있다. 포항환경운동연합영일대해수욕장상가번영회, 경북사회연대포럼 등은 '포항제철소5투기장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반대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31일 이들은 포항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소환원제철 용지를 기존 유휴부지나 그 외 육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지 않고 5투기장 조성만 고집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이 포항 영일만에서 해양보호생물인 잘피 군락지 약 15만㎡를 발견한 만큼 포스코는 공유수면을 매립해 해양환경과 생태계를 위협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반면에 찬성 의견도 만만치 않다. 같은 날 포항지역발전협의회는 성명을 발표하고 "포항제철소 주변에 여유 부지가 없어 부득이 바다를 매립해 수소환원제철소를 건립할 수밖에 없는 만큼 신속한 행정절차가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이어 "포스코가 포항에 20조원을 투자해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을 추진하는 것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크게 환영할 일"이라며 "경북도와 포항시는 공장 지을 땅이 없어 광양으로 넘어간 2차전지, 전기강판의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기업친화적 방향에서 산업용지 확보에 행정력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