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롯데월드타워에 쓰인 포스코 강재, 더 얇고 강하게 지진 견딘다

    출처:bada.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3/03/29 10:41:05

    롯데월드타워 적용 HSA600, 포스코만 생산 가능

    기존보다 1.7배 강하고 30% 가벼워…"내진 강재 사업 확대"




    포스코의 내진 강건재 포스코의 내진 강건재 'HSA600'이 적용된 롯데월드타워ⓒ롯데월드타워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으로 지진을 견디는 설계와 철강재에 관심이 높은 가운데, 포스코의 내진 강건재가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는 우수한 내진 성능과 용접 기술로 강진에도 견딜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2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재 설계 기준상 항복비 0.85 이하면 내진용 강재로 분류된다. 항복비가 낮을수록 내진 성능이 우수하다.


    항복비는 항복강도를 인장강도로 나눈 값이다. 물체에 힘을 가해 양쪽에서 당길 때 물체의 길이가 늘어나는데 힘을 놓으면 원래 크기로 돌아간다. 이때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최대 힘을 '항복강도'라 한다. 항복강도를 넘어 더 큰 힘을 가하면 물체가 늘어나면서 절단된다. 절단되기 전까지 가해지는 가장 큰 힘이 '인장강도'다.


    HSA는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구조용 전용 강재이다. 그중 인장강도 600Mpa과 항복비 0.8을 보증하는 HSA600은 포스코만 생산할 수 있다. 기존 건축구조용 일반 강재보다 약 1.7배 강하고 중량은 약 30% 가벼워 초고층 건물에 적합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롯데월드타워를 비롯해 서울대 관정도서관 등에 쓰였다.



    대만 타오위안 공항 제3터미널 조감도. 포스코의 SN강재가 들어간다.ⓒ포스코대만 타오위안 공항 제3터미널 조감도. 포스코의 SN강재가 들어간다.ⓒ포스코


    SN(Steel New)강은 항복비가 0.8로 내진강의 대명사다. SN강은 일본 고베 대지진이후 일본내 건축물의 내진설계 강화 및 강재의 용접성 향상을 목적으로 지난 1994년에 제정된 SN(Steel New Structure) 규격을 이르는 강재다.


    포스코는 1995년 SN강재 개발에 성공하고 1999년 KS규격(KS D 3632) 인증을 획득했다. 포스코의 SN강재는 신도림 테크노마트, 고양 체육관 등 일반 건축물에서부터 대형 공공시설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삼성물산이 시공중인 대만 타오위안 국제공항 제3터미널 신축 공사에 소요되는 건설용 후판 7만톤을 포스코가 전량 수주했는데, SN재가 90% 이상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