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달궈지는 연체율 뇌관...가계부채 폭탄 '신호'
출처:bada.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3/02/28 16:52:50
1월 4대 시중은행 신규 연체율 2배 증가
인터넷은행·저축은행 연체 조짐 '뚜렷'
"금리상승·경기침체, 신용리스크로 연결"
최근 은행권 연체율이 심상치 않다.
누적된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여파를 버티지 못한 취약 대출자들이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의 금융지원으로 억눌렀던 무더기 부실 위험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신규 연체율은 평균 0.09%로 전년동기보다 0.04%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신규 연체율은 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기준 대출잔액으로 나눈 것으로, 얼마만큼 새로운 부실이 발생했는지 보여준다.
은행 연체율 상승 기조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4대 은행 신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큰 변동 없이 0.04%를 유지해 왔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흐름이 달라졌다. 작년 9월 신규 연체율 평균은 0.05%로 올랐고 연말엔 0.07%로 상승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그간 금리인상의 누적 효과와 '3고' 현상으로 올해 연체가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을 했다"며 "이에 각 은행들이 지난해부터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시중은행 연체율의 경우 심각한 수준까지 치솟지 않았고 손실흡수 능력을 갖추고 있기에 부실 등의 우려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중저신용자 대출 비율이 높은 인터넷은행, 저축은행의 연체증가 조짐은 더 뚜렷하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1개월 이상 연체 대출 잔액은 2915억 9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말(1062억원)보다 3배 가까이 급증했다.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0.26%에서 4분기 0.49%로 0.23%p 상승했고 케이뱅크도 같은 기간 0.48%에서 0.67%로 0.19%p 높아졌다.
2금융권 특성상 다중채무자,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연체율도 적신호가 켜졌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3%로 직전 분기에 비해 0.4%p 올랐다. 2021년 말(2.5%)과 비교하면 0.5%p 증가했다.
아직 공시 전이지만 저축은행의 지난해 연체율은 3분기보다 더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은행권보다 신용도가 열약한 저소득, 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아 이들을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내부적으로도 연체율 지표 등의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앞으로 연체율 상승이 더 본격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행히 이달 한국은행 금통위원회가 기준금리 인상을 멈췄지만, 누적된 이자부담으로 차주들의 상환여력이 저하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해 경기 전망도 어둡다. 주요 국내·외 경제기관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대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7%,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8%로 예상했다.
아울러 코로나 사태 이후 대출 만기·상환 유예 지원을 5번 연장하며 뚜껑을 닫아 놓은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이 올 상반기 이후부터 터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정책 지원이 종료되면 빚더미에 허덕이며 상환이 어려운 자영업자들이 속출할 우려가 크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체 규모의 증가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우려스럽다"면서 "대기업을 제외한 모든 차주에서 연체율 상승속도가 전월보다 빨라지면서 연체율 상승기조가 뚜렷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상승이 신용 위험 상승으로 연결되는 데 시차가 존재하는데, 이런 특성상 올해 중 연체율 상승 기조는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침체가 진행되는 가운데 실제 금리 중에서도 대출금리가 많이 오름으로서 국민 부담이 상당히 커졌다"며 "이런 부분들이 연체율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성 교수는 "코로나 기간 있었던 금융지원정책 연장을 유지할 수 없는 부분 등 종합적으로 겹치면서 연체율로 금융시스템 불안문제가 커질 수 있다"며 "아직 시스템 위기까지 볼 수 없지만 연체율 상승에 대한 모니터링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