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로봇도입, 산업재해 감소에 효과적

    출처:bada.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3/02/27 14:59:26

    한국 로봇 밀집도 1만명당 932대

    1000명당 10대씩 증가하면 산업재해 8% 감소




    ⓒ현대로보틱스ⓒ현대로보틱스


    로봇도입이 증가하면 근로자의 산업재해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한국은행은 '로봇도입이 산업재해와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내고, 국내 로봇도입 현황과 근로자 업무의 연관성을 알렸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 1만 명당 산업용 로봇 대수는 932대로 나타났다. 이를 '로봇 밀집도'라고 하며, 국내 평균은 전 세계 평균(126대)를 크게 상회한다.


    회귀분석 결과 2010~2019년 동안 로봇도입이 많이 늘어난 지역에서 여타 지역과 비교했을 때 산업재해 발생건수 감소가 발견됐다.


    로봇노출도(근로자 1000명당 로봇대수)가 1표준편차(9.95대) 증가했을 때 근로자 100명당 재해근로자 수가 8% 감소했다. 특히 장해급여(-16.9%)에서 재해근로자 감소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장해급여란 업무상 부상으로 인해 근로자의 신체 등에 장해가 남는 경우에 지급하는 급여다.


    한은은 로봇이 노동집약적이고 위험한 업무를 대체함에 따라 근로자 중 육체직무 종사자 비중이 감소한 영향으로 봤다. 또한 로봇노출도가 1표준편차 증가했을 때 지역의 육체직무 종사자 비중은 0.36%p 감소했다. 이는 평균(44.1%) 대비 0.8% 수준 낮은 것이다.


    이와 더불어, 로봇도입이 많이 증가한 지역에서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개선이 발견됐다. 특히 로봇이 많이 도입되는 근로환경에서 일 하는 저학력(고졸 이하) 근로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한은은 "산업재해감소, 근로자의 건강 개선 등 산업용 로봇의 긍정적 효과를 새롭게 발견했다"라며 "추후 기술 도입 관련 정책 수립 시 이러한 편익을 고려하고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