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위치 :뉴스
난방비 폭탄에 먹거리까지...고물가 쓰나미에 우는 서민
출처:bada.ebn. 편집 :编辑部 발표:2023/01/24 11:22:22
설 끝나자마자 생수, 음료, 주류 등 먹거리 가격 줄줄이 인상
원자재, 물류, 인건비 등 상승이 원인…서민 시름 깊어져
식품업계가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제품 가격을 연이어 인상하고 있다. 난방비에 이어 생수, 우유, 가공식품, 주류 등 먹거리 가격까지 전방위적으로 오르면서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더욱 팍팍해지는 모양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설 전 식품업체들을 대거 소집해 가격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음에도 식품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업체들은 원가 부담이 갈수록 커져 불가피하게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는 입장이다.
먼저 다음 달부터 생수 가격이 오른다. 제주도개발공사는 오는 2월 1일부터 삼다수 출고가를 평균 9.8% 인상하기로 했다. 2018년 이후 5년 만의 가격 인상이다. 인상 이후 삼다수는 대형마트 기준 500㎖가 480원, 2ℓ 제품이 1080원에 판매된다.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웅진식품 음료 가격도 2월부터 최소 100원에서 최대 300원까지 인상된다. 초록매실은 180㎖ 제품이 1300원에서 1400원으로 7.6%, 아침햇살은 500㎖ 제품이 2000원에서 2150원으로 7.5% 오른다.
우유와 유제품, 아이스크림 가격도 연이어 오르고 있다.
지난해 11월 원유 가격이 오르자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우유제품 가격을 평균 6% 인상했다. 이에 남양유업과 매일유업도 흰 우유 제품 가격을 각각 평균 8%, 9.6% 올렸다. 이 영향으로 우유가 재료인 유제품과 아이스크림 등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모양새다.
빙그레는 2월부터 아이스크림 가격을 올린다. 이에 메로나, 비비빅을 비롯한 아이스크림 7종과 슈퍼콘 등은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0원 인상된다. 해태아이스크림도 다음 달부터 바류 아이스크림 20종 가격을 평균 20% 인상한다.
가공식품, 냉동식품 등 먹거리 가격도 상승세다.
롯데제과는 2월 1일부터 돈가스와 만두 등 냉동 제품의 편의점 가격을 5~11%까지 올릴 계획이다. 인상률이 적용되면 쫄깃롤만두와 김치롤만두는 3500원에서 3900원으로, 고기통교자와 김치통교자는 5400원에서 5900원으로 오른다.
농심켈로그는 다음 달부터 콘푸로스트, 첵스초코 등 시리얼 제품 가격을 10% 안팎으로 올리고, SPC삼립은 제품 50여종의 마트·편의점 가격을 평균 12.9% 인상하기로 했다.
주류업계의 가격 인상도 예고돼 있다. 하이네켄은 오는 2월 10일부터 전 제품 가격을 7~10%가량 올릴 예정이다. 하이트진로도 '크로넨버그1664블랑'을 비롯한 수입 맥주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다.
여기에 오는 4월부터 주류에 붙는 세금인 주세가 인상되면 가격 인상에 더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맥주와 막걸리 등 탁주의 경우 주세가 3.57% 인상돼 맥주는 ℓ당 30.5원 오른 885.7원, 탁주는 ℓ당 1.5원 오른 44.4원이 된다.
업계에서는 맥주 제조사들이 통상 주세 상승 폭의 2~3배를 출고 가격에 반영하는 만큼 세금이 오르면 맥주 가격도 일제히 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먹거리 물가 급등에 정부는 지난달 9일과 이달 12일 식품업체들을 대거 불러 모아 가격 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호소했지만 업계는 설 연휴 이후 기다렸다는 듯 가격 인상을 이어가는 중이다.
특히 삼다수와 같은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의 가격 인상이 업계 전반으로 번질 수 있어 우려는 더 큰 상황이다.
식품업계는 갈수록 커지는 원자재와 물류비, 인건비 등 부담으로 제품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이 같은 부담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라며 "여론도 중요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도 누적되는 적자를 두고 볼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다만 비용 상승을 감안하더라도 제품 가격 인상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불만은 크다. 빙그레의 경우 지난해 재료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가격을 한 차례 올린 이후 1년 만에 또 가격을 올렸다.
한 소비자는 "원가가 떨어졌다고 해서 가격을 내리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며 "식품업체들이 원가 상승의 부담을 소비자에게 쉽게 떠넘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