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M&A 반대여론 진화 '사활'

    출처:http://bada.ebn.co.kr/news/lists?kind=&key=&shword=&period=&page=592    편집 :编辑部    발표:2019/03/17 10:27:50

    ▲ 현대중공업 서울 계동 사옥 전경.ⓒ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M&A) 반대여론 진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기업결합까지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인 만큼 반발을 방치하면 경영은 물론 회사 이미지에도 타격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5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우조선 M&A 차원의 회사 물적 분할에 따른 회사이익 감소 우려 및 인력 구조조정설을 연거푸 부인했다.

    현대중공업 측은 이달 초 사내소식지를 통해 "노동조합 주장대로 오는 5월 말 물적 분할 후 탄생하는 중간지주회사 한국조선해양이 회사의 모든 이익을 가져가고 현대중공업은 단순 생산기지로 전락하는 구조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사측은 "분할 후에도 사내유보금을 현대중공업 사업경쟁력 강화와 종업원 처우 개선에 최우선으로 사용된다"라며 "부채 또한 현대중공업만 뒤집어 쓰는 게 아니라 한국조선해양도 연대해 변제하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지난 3월 초 KDB산업은행과 중간지주사를 신설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을 거느리는 내용의 민영화 방안을 합의했다. 이에 현대중공업 노조는 "애초 노조 동의 없는 일방적 합의인 데다, 기존 근로자 처우조건 축소 및 고용불안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가 우려된다"라며 반발해왔다.
    ▲ 대우조선해양 서울 다동 사옥 구조물.ⓒ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측은 피인수기업인 대우조선 노조의 반발도 상당히 신경쓰는 모양새다.

    대우조선 노조가 우려하는 것은 인력 구조조정 문제다. 양사 사업이 중복되는 만큼 당장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 중복인력 정리 등 축소·폐지작업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현대중공업 측은 지난달 말 한영석 사장이 직접 나서 피인수기업 노조에 해명하는 이례적 장면을 연출했다.

    당시 한 사장은 "M&A 이후에도 대우조선은 자율적 책임경영체제가 유지되고 일부인력을 전환배치하는 경우도 없을 것"이라며 "근로관계 또한 물적 분할 이후에도 승계·유지되고 근로조건·인사제도·복리후생제도 등도 모두 현재와 동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오갑 현대중공업 부회장도 비슷한 내용으로 호소한 바 있다.

    현대중공업의 이러한 노력에도 아랑곳 없이 양사 노조에서 비롯된 대우조선 M&A 반대여론은 날이 갈수록 지역사회는 물론 정치권 등 전방위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재계 관계자는 "이제 막 실사를 시작한 상황에서 반대여론 확산은 국내외 기업결합심사 결과에도 반영될 수 있는 만큼 지속적인 설득작업이 필요해 보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