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뉴스

    재계, 300조 투자·일자리 '통 큰 화답'

    출처:    편집 :编辑部    발표:2018/08/11 16:43:31

    삼성을 필두로 SK, LG 등 주요 그룹들의 대규모 투자 고용 계획·약속에 재계가 주목하고 있다.

    기존 진행하던 사업이나 채용도 상당 부분 포함됐지만, 삼성전자가 8일 발표한 중장기 투자·고용 계획은 경제활력의 '마중물' 역할을 하기엔 충분하다는 게 재계 대체적 시각이다.

    특히 대기업 투자·고용 확대를 통해 '성장률 쇼크'를 타개하려는 정부의 유인책에 민간 대기업들도 쟁여 놨던 투자 보따리를 하나씩 풀고 있다. 

    8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현대차, SK, LG 등 주요 그룹이 잇따라 내놓은 투자 규모는 단순 액수만으로 300조원을 넘어선다.

    우리나라 한해 국내총생산(약 1800조원)의 20%를 차지할 만큼 큰 액수다. 대부분 중장기 계획이고 투자 기간도 서로 다르지만 엄청난 수치임엔 틀림이 없다.

    삼성전자는 3년간 미래성장사업을 중심으로 무려 180조원(국내 13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혀 '1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재확인했다. 

    특히 투자 대상이 주로 '신성장 동력'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도 의미가 크다.

    우선 반도체는 AI(인공지능), 5G, 데이터센터, 전장부품의 신규 수요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 평택 등 국내 생산거점을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미래 성장사업인 AI·5G·바이오 사업에 25조원을 투입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혁신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디스플레이는 글로벌 경쟁사의 대량 물량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고부가·차별화 제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삼성은 향후 3년간 4만명을 직접 채용하는 등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채용계획은 3년간 2만~2만5000명 수준이나 최대 2만명을 추가 고용할 예정이다.

    삼성 측은 "투자·고용 수요와 성장전략을 조화시켜 경제 활성화와 신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 성장기반을 구축하려는 취지"라며 "혁신역량과 노하우를 사회와 공유하며 진정성을 갖고 지속적으로 실행해 국가경제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주요 그룹들은 '재벌 개혁'과 '동반성장'으로 상징되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기조에 대응해 왔다.

    먼저 LG그룹은 지난해 12월 정부에 19조원 신규 투자, 1만명 신규 채용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LG그룹은 신성장 동력인 전기차 부품, 자율 주행 센서, 카메라 모듈, 바이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화학 등에 집중 공략한다.

    일례로 LG그룹 내 주력 계열사인 LG화학은 최근 2조8000억원을 들여 여수 납사분해시설(NCC)과 고부가가치 폴리올레핀(PO)을 각각 80만톤을 증설하는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건설 과정에서 연인원 250만 명의 일자리가 생기고, 설비 가동 이후 300명 이상의 직접 고용이 창출효과가 발생된다. 

    현대동차그룹은 5년간 23조원 투자, 일자리 4만5000개 창출을 약속했다. 현대차그룹은 차량전동화, 로봇·인공지능(AI), 미래에너지, 스타트업 육성 등 5대 신성장 사업에 투자키로 했다.

    SK그룹은 올해 27조원5000억원, 향후 3년간 8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년간 2만8000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도 약속했다. 투자 대상은 5대 신사업으로 △반도체·소재 △에너지 △차세대 ICT △미래 모빌리티 △헬스케어를 집중 육성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SK그룹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는 최근 경기도 이천에 15조원들 들여 신규 메모리반도체 공장(M16)을 설립하겠다고 전했다.

    또 지난 6월 신세계그룹은 정용진 부회장이 김동연 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3년간 9조원 투자, 매년 1만명 이상 신규 채용으로 화답했다. 이는 지난 5년간 신세계그룹 평균 투자액보다 15.4% 커진 규모다.

    재계 한 관계자는 "재계 1위 삼성이 사상 최대 규모 투자안을 내놓으면서 기업들 전반으로 투자 분위기가 확대될 것"이라며 "재계가 정부 요청에 응답하면서 정부도 친기업 기조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